'면역적 거세(Immunocatration)'는 자돈의 '외과적 거세'를 대체하는 기술로, 연속된 두 차례의 백신 접종을 통해 일시적으로 고환 기능을 억제하는 항체를 유도하여 웅취(boar taint)를 방지한다. 이 방법은 높은 돈육 품질과 높은 수준의 동물복지를 동시에 확보하는 수단이다. 면역적 거세가 지속가능성의 세 가지 축(society, economy, environment)에 미치는 영향은 폭넓게 연구되어 왔다. 다만 지금까지는 각 측면이 개별적으로 연구된 반면, 다양한 측면을 아우르는 최신의 글로벌 종합 개요는 없는 상황이다. '면역적 거세 돼지'는 생산성 지표가 '외과적 거세 돼지(barrow)'보다 우수하지만 '비거세 수퇘지(boar)'보다는 낮다. 환경영향은 외과적 거세 돼지 사육보다 낮지만 비거세 수퇘지 사육보다 높다. 공격성 수준은 비거세 수퇘지에 비해 면역적 거세 돼지에서 현저히 낮다. 사회적 우려는 주로 식품 안전과 관련되어 있으나 과학적 근거로 뒷받침되지는 않는다. 두 번째 접종 이후에는 면역적 거세 돼지가 수퇘지 유사 상태에서 외과적 거세 돼지 유사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두 번째 접종 시점은 동물복지 문제와 웅취 위험 증가에
돼지복지 이슈 중 하나인 '외과적 거세'의 새로운 해결책이 최첨단 유전자 기술에서 마련될 전망입니다. 미국 미네소타에 위치한 생명공학기업, 리컴비네틱스(Recombinetics)가 종돈회사, 디엔에이 제네틱스(DNA Genetics)와 '외과적 거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략적 제휴(얼라이언스)를 맺었다고 지난 3일 밝혔습니다. 외과적 거세는 수퇘지 돼지고기 특유의 웅취(boar taint)를 제거하기 위해 성성숙 이전의 어린 수퇘지의 고환을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것입니다. 외과적 거세는 양돈산업에 있어 동물복지측면에서 언젠가는 근절할 과제인 동시에 당장, 세균감염이나 스트레스로 인해 돼지의 건강에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이 활용할 핵심 기술은 '유전자 편집(gene editing)' 입니다. 리컴비네틱스의 과학자들은 앞으로 유전자 편집을 통해태어날 때부터 생물학적으로 거세가 된 돼지를 만들어 낼 계획이며 디엔에이 제네틱스는 이들돼지가 실제 상업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사료효율, 육질, 사양 등을 평가할 것 입니다. 한편 리컴비네틱스의 이번 프로젝트는 지난해12 월 비영리기구인 식량농업연구재단(FFAR)으로부터 50만 달러, 한화로 약 5억4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