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터레벤은 '더 나은 삶'이라는 의미의 네덜란드 동물복지 인증제의 이름이다. ‘알버트 하인‘이라는 슈퍼마켓의 축산물 코너에는 닭고기, 돼지고기, 소고기 등 많은 축산물에 베터레벤 인증 표시가 1, 2, 3성으로 구분되어 표기되어 있었다. 별의 개수가 많을수록 동물복지 기준도 높다. 베터레벤 인증 농장은 총 2,041개소이며 이 가운데 772개소가 돼지농장이고, 644개소가 육계, 즉 치킨 닭 농장이다. 소비자들의 96%가 동물복지 인증인 베터레벤을 알고 있다. 소비자들과 직결되는 소매시장 기준으로 베터레벤 인증의 시장 점유율은 돼지 90%, 육계 93%, 산란계 86%에 이를 정도로 매우 높다. 놀랍게도 이 인증제는 동물보호단체에서 시작되었으며 지금도 그 운영의 주체는 민간이다. 베터레벤 인증제가 네덜란드에서 이토록 놀라운 성공을 거둔 비결은 무엇이며 어느정도의 시간이 걸렸을까. 한국에서는 국가 주도형 동물복지 인증제가 2012년 도입되었지만 크게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돼지의 경우 2013년 첫 동물복지 양돈 농장이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12년이 지났지만 동물복지 인증 돼지농장은 26개소에 지나지 않는다. 동물복지 인증 돼지농장이 0.4%에 불과한 한국
오는 3월 3일 '삼겹살데이'를 맞아 대형마트와 슈퍼마켓, 이커머스 등이 지난주부터 일제히 돼지고기 할인 행사에 나섰습니다(관련 기사). 할인 상품은 주로 구이용인 삼겹살과 목심이며, 할인율은 최대 50%로 올해 20주년을 맞는 '삼겹살데이'를 기념한 파격적인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작 돼지 도매가격은 아직까지 요지부동입니다. 지난주 평균 도매 가격은 4,303원으로 전주 대비 고작 0.8% 올랐을 뿐입니다. 양돈농가들은 이번주 본격적인 삼겹살데이 분위기에 도매가격이 살아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득흔 가자(pigpeople100@gmail.com)
15일 개막하는 비브아시아를 위해 태국 방콕에 들른 '돼지와사람'이 잠시 태국의 슈퍼마켓에 들렀습니다. 거기에서 만난 태국의 돼지고기 부분육 포장 제품을 카메라에 담았습니다. 우리나라 부분육 제품과 다른 점은 일단 제품이 다양하다는 점 그리고 내장 등 부산물을 함께 판매한다는 점입니다. ▶돼지고기 신선육 판매대 - 다양한 부분육 제품 ▶삼겹살 - 태국의 거대 축산기업 CP의 제품 ▶삼겹살 ▶소장 ▶위 ▶대장 ▶자궁 ▶신장 ▶등심과 안심 - Pork Health(건강한 돼지고기) ▶목살 ▶귀 - Pork Happy(행복한 돼지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