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농정해양연구회(회장 방성환, 국민의힘, 성남5)는 15일 농정해양위원회 회의실에서 '경기도 축산악취 저감 방안 마련 연구(피트모스 지원방안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착수보고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보고회에서 방성환 회장을 비롯한 농정해양위원회 위원들과 축산동물복지국 이강영 국장, 축산진흥센터 이양수 소장 등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해 피트모스를 중심으로 한 축산악취 저감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습니다.
이번 연구용역은 경기도의 축산악취 저감을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 한우·젖소 및 돼지 농장을 대상으로 피트모스의 축산환경 개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경기도형 축산악취 저감 정책을 제안하고, 관련 조례 제정 및 개정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연구용역 책임자인 최용준 한경국립대 교수는 “3개월간 경기도 내 한우, 젖소 및 돼지 농가에서 실증적 연구를 통해 피트모스 사용에 대한 효과를 검증할 것"이라며 연구 방향을 설명했습니다.
방성환 회장은 “축산악취 문제는 경기도 농정해양위원회의 중요한 과제"라며 "이번 연구가 실제 농가에서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며 연구진에게 최선의 노력을 당부했습니다.

농정해양위원회는 이튿날인 16일, 이천축협 주관으로 축산환경개선제를 활용하고 있는 양돈농가를 방문해 축산물 품질 개선 사례를 점검하고, 농장주와 환담을 나눴습니다. 이천시 양돈농가는 180일간 미생물제를 사료에 혼합 급여한 결과, 암모니아 발생 감소, 폐사율 저하, 출하일령 단축 등 가시적인 개선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오수 의원은 “경기도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축산악취 민원이 가장 많은 지역”이라며 “가축분뇨 해결에 피트모스가 적합한 소재이므로 이번 정책연구용역을 통해 축산악취 저감 방안이 경기도 전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향후, 농정해양연구회는 5월 중 중간보고회를 거쳐 6월 최종보고회를 통해 연구용역의 결과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경기도의 축산악취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편 피트모스는 늪지의 식물이 습지 바닥에 퇴적돼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부식된 것으로, 북유럽, 러시아 등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부피의 89% 정도가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조직으로 돼 있어 통기성과 보수력이 뛰어나 축사 바닥의 수분조절이 용이하고, 축분 퇴비의 부숙기간을 30~50% 이상 단축시켜 악취 제거에도 탁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관련 연구).
이근선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