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코로나19, ASF로 인한 돼지고기 부족이 원인?'

  • 등록 2021.03.12 05:35:26
크게보기

중국과 영국 연구팀, ASF 발병으로 인한 돼지고기 폭등에 대체육류(야생동물) 찾는 과정에서 코로나19 시작 가능성 주장

중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된 '코로나19'가 중국의 'ASF' 발병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주장의 연구 논문(How One Pandemic Led To Another: Asfv, the Disruption Contributing To Sars-Cov-2 Emergence in Wuhan; 원문 보기)이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해당 논문은 중국 화난농업대학과 영국 글래스고대 바이러스 연구센터의 공동 연구팀의 공동 연구 결과입니다. 

 

연구팀은 "2019년 12월 이전 (중국 내 ASF 발병으로 인한) 돼지고기 시장의 심각한 변동으로 인해 코로나19를 포함하여 야생동물에서 인간으로, 야생동물에서 가축으로, 비지역 동물에서 지역 동물로의 전염이 증가했을 수 있다"며, "(중국 정부의) 돼지 이동 및 도태 제한에 따른 돼지고기의 극적인 부족으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여 대체 육류 공급원과 야생동물과 관련된 비정상적인 동물 및 육류 이동이 발생하여 인간-바이러스 간의 접촉 기회가 크게 증가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야생동물이나 감염된 동물로부터 코로나19에 대한 인간의 노출은 중국이 ASF 대유행의 최악의 영향을 경험한 2019년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요약하면 2018년 8월 중국 내 ASF 발병으로 절반 가까운 돼지가 폐사하고 돼지고기 가격이 폭등하자 대체 육류로서 야생동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 과정에서 이듬해부터 코로나19가 시작되었을 것이라는 가설입니다. 

 

해당 주장에 대해서는 좀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입니다. 하지만, 밑도 끝도 없이 코로나19가 '공장식 축산정책'이 하나의 원인이며, '친환경 축산정책 확대'가 요구된다는 우리 정부나 국회의 주장(관련 기사)보다는 논리적이며, 신빙성이 높아 보입니다.

 

축산을 식량안보 차원에서 보다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산업의 주장을 뒷받침하기도 합니다. 

 

한편 해당 논문은 정식으로 학술지에 실린 것은 아니며 현재 동료평가가 진행 중입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관리자 pigpeople100@gmail.com
Copyright @2016 돼지와 사람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돼지와 사람 I 031-988-1184 I 신문사업등록번호: 경기아51445 I 등록연월일: 2016년 12월 9일 I 제호: 돼지와사람 I 사업자등록번호: 136-12-63379 I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 중부부천 제 2017-1호 I 발행인: 이득흔 | 편집인: 이근선 I 발행소: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2로 192, 302-901| 청소년보호책임자: 이근선| 대표메일: pigpeople100@gmail.com I 돼지와사람은 인터넷신문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Copyright @2017 돼지와 사람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