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꼽탈장(umbilical hernia, UH)은 돼지에서 흔히 발생하는 발생학적 결함으로,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에 의해 모두 영향을 받는 다인자형질(multifactorial trait)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양돈농장에서 UH의 발생률을 조사하고 UH 개체의 종돈 활용이 돼지의 번식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조사된 양돈농장에서 UH의 발생은 0.1%-3.0%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1개 농장을 제외한 모든 농장(95.7%)에서 UH 발생개체들이 발견되었다. UH 발생개체를 활용한 번식시험 결과, UH-연관교배와 후손들은 정상 대조축군과 임신기간, 출생자돈수, 생존자돈수, 생시체중과 21일령체중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5).
UH-연관교배는 정상 대조집단에 비해 임신기간이 더 길고, 출생자돈수와 생존자돈수가 감소하며, 생시체중과 21일령 체중이 더 가벼웠다. 흥미로운 점은 감소된 자돈수는 약 1/4에 해당하여, UH 유전형질이 아마도 돼지의 배발생과정에서 치사유전자(lethal gene)로써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UH 발생은 UH-연관교배에서 대조축군에 비해 유의적으로(P < 0.05) 더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UHcross3(UH와 무관한 정상 종빈돈과 UH-종모돈의 교배)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대조축군 내에서 자돈 1두가 UH를 나타내었고, 이는 UH가 열성유전 방식으로 유전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것들을 종합해 보면, 본 연구결과들은 UH는 열성으로 유전되는 유전적 결함 중 하나이며, UH 개체들을 종모돈이나 종빈돈으로 활용하는 것은 임신기간의 증가, 출생자돈수와 생존자돈수의 감소, 출생 후 돼지의 낮은 성장률 등과 같은 이유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것이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배꼽탈장(umbilical hernia)돼지의 종돈 활용이 번식형질에 미치는 영향, 한상현(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외, 한국임상수의학회, 2016]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