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후보돈, 농장의 현재와 미래... 후보돈의 선발과 초종부시점

  • 등록 2025.04.16 00:02:50
크게보기

우성사료 영업전략본부 신사업마케팅실 김대민 양돈 PM(042-670-1618, dmkim@woosung.kr)

25년 봄 날씨가 예년과 다르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무더위가 앞당겨질거라 생각해 지자체마다 봄꽃 축제 행사 일정을 앞당겼지만, 현실은 4월 중순에 눈이 내리고 있다. 4월 중순의 추위는 올 여름 더욱 큰 더위를 가져올지, 지구 온난화의 진행 속에서 또다른 이상 기온현상을 가져올지 알수 없다.

 

25년 1/4분기를 지나면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30kg 자돈 매매가의 상승과 전체 양돈사료량의 감소이다. 23월말~24년초 PED, 고병원성 PRRS의 확산으로 번식성적이 하락하고, 모돈의 항병력에 문제가 생겼다. 여기에 24년 여름은 9월 더위가 어느 때보다 극심해 실제 30kg 자돈 판매가 이뤄지는 25년 1~2월부터 영향을 주고 있다.

 

25년도 더위와 질병 이슈 외에도 모돈의 면역력과 번식성적에 악재 요인의 등장 가능성이 높고, 농장에서는 이를 대비해 늘 경쟁력 있는 후보돈의 준비가 되어야 한다. 이 글을 통해 후보돈 선별시 초종부 일령과 체중에 대해 고민해 보고, 후보돈 선발 조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초종부 일령과 체중

후보돈 사료의 목표는 단순히 빠른 증체가 아닌, 충분한 골격 형성과 번식기관의 발달, 안정적인 연산성을 위한 튼튼한 지제 형성이다. 초종부 일령과 체중은 후보돈 관리의 핵심 지표로, 적절한 초종부 일령과 체중은 모돈 전생애의 생산성을 결정한다.

 

다산성 모돈의 도입 이후에는 초종부일령 250일령 이상과 초종부체중 150kg 이상을 권장하는 의견이 있었으나, 지나치게 늦은 초종부 시점은 미약 발정 증가 및 비생산일수(NPD)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예컨대, 초종부 체중이 160kg인 후보돈은 135kg 후보돈에 비해 일당증체량이 700g, 일당 섭취량이 500g만 되어도 사료 소모량이 17.8kg 더 많고, 후보돈 한 마리당 1만 원 이상의 사료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후보돈의 성장패턴은 종돈 품종마다 다를 수 있다. 초발정일령은 다양하게 분포하며, 우성사료에서 최근 개량된 모돈 기준권장하는 초종부일령과 체중 및 등지방 두께는 아래와 같다.

  • 초발정일령 : 160-210 일
  • 초종부일령: 225-245 일 (최소 210일)
  • 초종부체중: 135-160 kg (140-150kg 이상적)
  • 등지방두께: 13-15mm

 

2. 후보돈 선발 조건

후보돈 선발 및 도입시에는 단순한 체형 외에도 적정성을 평가할 때 지표로 사용하기 위해 지제, 유두, 외음부 등 다양한 요소를 평가해 종합적인 번식 가능성을 판단해야 한다.

 

(1) 지제 : 후보돈 선발에 있어 지제는, 지제의 쿠션이 좋고, 관절의 탄성이 있어야 하며, 각도도 중요하다. 누운 자세에서 쉽게 일어날 수 있어야 하며, 걸음걸이가 자연스러워야 한다. 지제가 불량한 경우 연산성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2) 유두: 유두의 선발 기준은, 여러 종돈회사에서 가용유두 개수를 14개(7쌍) 이상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2019년 PIC 우수 종돈장의 후보돈 58%에서 16개 이상의 가용 유두수를 기록했고, 2017년 덴마크(Moustsen and Nielsen, 2017)에서는 14-15개의 가용 유두수를 기록했다. 2023년 SFR data에 따르면 3099두의 F1 후보돈 유두수는 총 14.74개, 가용유두수 13.56개를 기록했다.

 

 

후보돈의 가용 유두수에 따라 모돈의 포유능력이 현저하게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나며, 자돈 성장에 영향에 끼친다.

 

 

유두의 외형적인 형태 역시 선발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위 그림의 오른쪽 유두 배열의 경우, 분만 후 옆으로 누워 있을 경우, 유두 괄약근 손상이 올 수 있다.

                         

 

   

(3) 외음부 : 지제, 유두 외에 외음부의 크기 및 형태 역시 선발에 있어 하나의 기준이다.

   

    

외음부 크기를 1,2,3 / S,M,L 의 3단계 구분이나, 1,2,3,4,5의 5단계 구분시 중간 크기 이상에서 좋은 번식 성적을 보인다.

 

 

1산차, 2산차 그리고 1산+2산 합산 성적에서 모두 총산, 실산에서 중간 크기 이상의 외음부를 가진 모돈이 좋은 성적을 보였다.

 

 

외음부 크기에 따른 1산차 분만 달성율 수치를 보더라도 큰 사이즈의 외음부가 더욱 높은 달성율을 보인다.

 

미래의 준비를 위해 교육에 투자를 하듯, 우리 농장의 지속적인 현재와 미래의 생산성을 위해서는 후보돈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한국의 모돈들이 다산성으로 많이 바뀌어 있고, 그에 맞는 후보돈의 초종부 일령과 체중 관리가 필요하다. 후보돈의 선발 역시 지제, 유두, 외음부에 대한 정확한 기준을 가지고 운영 해야만이 경쟁력 있는 모돈군 형성 및 운영이 가능하다.

 

돈가와 생산비의 불확실성에 흔들리지 않는 안정적인 생산성 확보를 위한 후보돈 운영을 바라며 글을 마친다.

 

 

관리자 pigpeople100@gmail.com
Copyright @2016 돼지와 사람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돼지와 사람 I 031-988-1184 I 신문사업등록번호: 경기아51445 I 등록연월일: 2016년 12월 9일 I 제호: 돼지와사람 I 사업자등록번호: 136-12-63379 I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 중부부천 제 2017-1호 I 발행인: 이득흔 | 편집인: 이근선 I 발행소: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2로 192, 302-901| 청소년보호책임자: 이근선| 대표메일: pigpeople100@gmail.com I 돼지와사람은 인터넷신문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Copyright @2017 돼지와 사람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