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자조금 자율성 강화... 2016년 축산단체가 안했다

  • 등록 2023.09.19 09:00:04
크게보기

2016년 축산자조금 법률 개정, 2023년으로 넘어온 셈....총선 이후 재추진 가능성

2016년에도 축산자조금 운영 자율성을 강화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축산 관련 단체들이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눈치를 보면서 개혁을 미루었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의성한우협회장 등 생산자 조직에서 일한 경험이 있던 김현권 전 의원(제20대, 더불어민주당)은 2016년 국회의원이 되자 제일 먼저 '축산자조금의 조성 및 운용에 관한 법률(이하 축산자조금법)' 개정을 추진했습니다.

 

자조금이 과도한 정부 간섭으로 농식품부 사업의 연장선상에서 다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김현권 전 의원의 문제의식이었습니다. 정부지원금을 받더라도 자조금 운영 권한은 운영주체인 '축산단체'가 온전히 쓸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한 행정절차는 없애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축산단체의 자조금 운영 권한을 강화시키는 축산자조금법 개정은 실행되지 못했습니다. 

 

김현권 전 의원의 한 보좌관은 "2016년 이해당사자인 축산단체가 농식품부 눈치를 보면서 합의가 안되고,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아 결국 자조금 개혁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라며 "자조금이 아니라 관조금임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농식품부가 더 장악력을 높여 끌고 가겠다는 것인데 축산단체가 잘 대처하기 바란다"라고 말했습니다.

 

2016년에 미루었던 자조금 문제는 7년 뒤인 이제 2023년으로 넘어왔습니다. 관리원을 만들어 자조금을 가져가겠다는 농식품부는 축산단체의 완강한 반응에 개정안 추진을 잠정 추진 보류하며, 일단 한 발 물러섰습니다(관련 기사). 하지만, 일각에서는 내년 총선('24년 4월 실시) 영향이며, 총선 이후 다시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관련하여 한 한돈자조금 대의원은 "총선 전에 뭐라도 해야 된다는 생각이다"라며 "자조금이 없으면 양돈농가들이 한돈협회 이야기를 들을 이유가 없게 되고, 모든 면에서 농식품부 마음대로 끌려가게 될 것이다"라고 전했습니다. 

 

이근선 기자(pigpeople100@gmail.com)

관리자 pigpeople100@gmail.com
Copyright @2016 돼지와 사람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돼지와 사람 I 031-988-1184 I 신문사업등록번호: 경기아51445 I 등록연월일: 2016년 12월 9일 I 제호: 돼지와사람 I 사업자등록번호: 136-12-63379 I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 중부부천 제 2017-1호 I 발행인: 이득흔 | 편집인: 이근선 I 발행소: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2로 192, 302-901| 청소년보호책임자: 이근선| 대표메일: pigpeople100@gmail.com I 돼지와사람은 인터넷신문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Copyright @2017 돼지와 사람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