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기홍양돈연구소의 안기홍 소장은 '일본의 양돈산업은 철저하게 고객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수많은 브랜드가 있고 브랜드 별로 차별화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로즈포크' 브랜드로서 LYD 3원 잡종 브랜드입니다 [사진제공: 안기홍 양돈 연구소]](http://www.pigpeople.net/data/photos/20170416/art_14929452451624_21728a.png)
71년 일본은 돈육수입자유화 이후 돈육자급율이 14년 기준 53%까지 하락했습니다. 국제화시대에 일본 양돈산업이 살아남기 위한 여러 전략 중 하나가 브랜드입니다. 그 바탕에는 3정(定)이 있다고 합니다.
![균일한 품질의 로즈포크 브랜드 [사진제공: 안기홍 양돈 연구소]](http://www.pigpeople.net/data/photos/20170416/art_14929452434254_f303db.png)
3정은 주간, 월간, 계절의 기복없이 일정한 물량을 정기적으로 유통에 공급하는 것을 ‘정시(定時)’, 항상 일정한 체중과 규격품을 출하하는 것을 ‘정량(定量)’, 항상 일정한 품질과 맛의 돼지고기를 생산하는 것을 정질(定質) 등을 말합니다.
![츠쿠바돈, LYB조합으로 프리미엄 브랜드입니다. [사진제공: 안기홍 양돈 연구소]](http://www.pigpeople.net/data/photos/20170416/art_14929452344894_bc65dc.png)
안기홍 소장은 이러한 3정(定)의 품질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종돈, 영양, 위생, 관리, 환경 등 종합적인 요소의 과학적인 활용이 필수적인데, 이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안이 바로 '고객과 품질중심의 사고 및 경영'이라고 주장합니다.
![로즈포크보다 100g에 약100엔(1,0410원) 비싸게 팔고 있습니다 [사진제공: 안기홍 양돈 연구소]](http://www.pigpeople.net/data/photos/20170416/art_14929452382201_ab1fc9.png)
소비자는 자신이 지불한 댓가만큼 이익을 누릴 권리를 가지려 합니다. 그래서 소비자의 충성도와 트렌드는 항상 변화합니다.
![일반 정육점 [돼지와사람 DB]](http://www.pigpeople.net/data/photos/20170417/art_14929754483756_8eef91.jpg)
한돈 소비자에 있어 양돈산업의 '생산성'은 실상 관심 밖의 일입니다. 또한 국내산 돈육 '한돈'에 대한 충성도는 최근의 40% 이하로 시장점유율이 떨어진 한우산업을 볼 때 결코 안심할 수 없습니다.
국내산 돼지고기를 '한돈'이라는 하나의 브랜드로 바꾸고 년간 수십억원을 소비홍보에 투자하며 수입육과의 시장점유율 싸움을 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양돈산업도 3정(定)의 관점에서 경쟁력을 키워야 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생산성만큼이나 중요한 무언가를 한돈산업이 모색해야 하는 것은 미래를 대비하는 당연한 일입니다. 소비자가 여전히 한돈산업에 지지를 보내고 있는 지금이 가장 빠른 때일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