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축산연합회(회장 이승호)는 성명서를 통해 산불 피해 주민·농업인 복구 지원 대책과 대형 산불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산불 지휘권 및 예산 관리체계 개편, △산불 감시 및 진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초동대응 인력의 전문화, △산촌지역 고령 노인에 대한 비상경보 및 대피체계 마련, △인공강우 등 산불예방 대책을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정부와 정치권은 산불 피해 주민·농업인 복구 지원과
선진국형 대형산불 대응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역대 유례가 없는 대형산불이 지난 3월 21일부터 30일까지 10일간 영남지방의 11개 농촌지역을 초토화시켰다. 먼저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면서, 거대한 화마(火魔)와 ‘목숨을 건 사투(死鬪)’를 벌인 진화 대원들과 헬기조종사들의 노고에 깊은 경의를 표한다. 한국농축산연합회는 정부와 정치권이 초당적(超黨的) 협력을 통해, 산불 피해 주민·농업인 복구 지원대책과 함께 선진국형 대형산불 대응 시스템 마련에 총력을 기울여 줄 것을 촉구한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자료(3.30일 기준, 추정치)에 따르면, 이번 대형산불로 인해 경북지역에서만 농작물 1,555ha, 시설하우스 290동, 농기계 2,639대, 축사 71동, 돼지 24천두, 닭 52천수 등 농업분야에서 막대한 피해가 발생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정부는 4월 초 지자체 피해조사와 중앙합동조사를 거쳐 구체적인 피해규모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봄철 영농 준비와 축산농장 운영에 직격탄을 맞은 피해 농업인들에 대해, 조속한 영농 재개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지원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이에 농식품부가 지난 3월 31일 우선 발표한 산불 피해 농업인에 대한 긴급 지원대책을 환영한다. 향후 농업분야 산불 피해규모 조사·결정 시에 피해 농업인들의 재기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기존 제도의 틀을 넘어서는 추가 지원방안을 적극 강구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정부와 정치권은 이번 사태를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 봄철 산불이 대형 화마(火魔)로 돌변하여, 더 이상 선량한 국민들의 삶을 피폐(疲弊)시키지 않도록 적극 조치해야 한다.
이에 한국농축산연합회는 △산불 지휘권 및 예산 관리체계 개편, △산불 감시 및 진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초동대응 인력의 전문화, △산촌지역 고령 노인에 대한 비상경보 및 대피체계 마련, △인공강우 등 산불예방 대책을 비롯한 선진국형 대형 산불 대응 시스템을 완전하게 구축할 것을 정부와 정치권에 강력히 촉구한다.
2025.4.1
한국농축산연합회